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엘츠 라이팅 공부방법 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텐데요~
그 중에서도 에세이를 분석해보고 본론 작성요령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In many countries, the proportion of older people is increasing steadily. Do you think it is a positive or negative change to the society?
본론입니다. // 본론은 세부적으로 한문장씩 분석 할거니까~ 일단 아래글을 읽어주세요^^
It is true that there can be some benefits if there are more and more old people in the world.
First, most mature individuals have a lot of experiences and possessed various knowledge in their life.
They can serve as mentors for young people, training them to become more productive and effective members of society.
Second, since the elderly have witnessed many important events in their lives, they can be living historians. Through their memories, the younger generations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st, and can even use this knowledge to avoid the same mistakes that the older generations had committed.
Last, having older family relatives in a household can be a blessing for younger family members. Parents can leave their young children to grandparents while they go to work, confident that their offspring will be safe and cared for.
본론의 길이~~~
제 기준에서는 조금 긴 것 같아요. 여기서 조금 더 줄여도 좋을 듯 합니다^^
길다고 좋은것이 아니에요~~
250자를 넘기면 된다고 했을때, 250자 딱 나오면 좋지만 그건 좀 어렵구^^
250+9단어 이내면 성공이죠.
->우리에게 무한대의 시간이 있는 것이 아니죠? 주어진 시간내에 글을 잘써야 하잖아요.
괜히 길~게 썼는데 문장오류만 더 많아지고?? 그럼 더 안되겠구요 ㅋ^^
먼저 아이엘츠 라이팅 Task 2 의본론은 어떻게 쓰느냐!!
1) 아이엘츠 라이팅 본론의 기능은
아까 서론에서 내가 밝힌 그 의견! 에 대해서 내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자세하게 이유까지 덧붙여서 써주는 것이에요.
2) 보통 본론은 2개 정도 써요.
(아이엘츠 라이팅에서 글자수 고려 등등)
3) 본론을 쓰는 스타일은 크게 2개로 나눠요.
1. 어떤 본론은 그 2개에 모두, 내가 서론에서 밝혔던 그 이유를 다루기도 해요.
그럼 커다란 이유가 2개가 되는 것이겠죠.
4) 하지만 다른 스타일이 있어요.
1. 하나의 본론에 대해서는 내가 생각하는 의견이 아닌, 다른 쪽에 대한 '인정'의 부분을 쓰고, 그 다음 본론에서 내 실제 의견의 이유를 나열하고, 그것이 앞의 본론보다 더 타당하다는 식으로 쓰는 것이죠.
5) 이 에세이에서는 (4)의 스타일이에요.
첫째 본론에서,
1. 나이든 사람이 많아지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아예 없는 것이 아닐것이므로 그 부분을 첫째 본론에서 언급을 해요.
그리고 둘째 \본론에서
2. 나이든 사람이 많아지는 것에대한 우려.부정적인 시각을 언급하되, 이것이 더 크다..라는 식으로 쓰죠.
6) 3번 스타일과 4번 스타일 둘다 괜찮아요.
이것은 '글'이기에 내 생각이기에 정답은 없어요.
어떤 학원에서 이렇게 쓰면 안되고 꼭 저렇게 써야한다! 라고 했다....라고 말씀해주신 분들이 있었는데;;;
그렇지 않아요. (믿어도 되요. 시험관도 인정한 사실)
7) 그 이유는,
당연히 모든 아이엘츠 라이팅의 토픽은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저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의견이 나뉘는 토픽이죠?
내가 전자에 동의하던 후자에 동의하던, 내 반대편의 생각을 100% 틀렸다라고 생각하긴 어려워요. 왜냐면! 사실 모든것에는 긍정적 부정적,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고.
그렇기에 많은 아이엘츠 라이팅 토픽에서 to what extent do you agree or disagree 라고 물어보는 것이거든요.
to what extent 어느정도로!! 생각하느냐 이지요.
그렇다면 무조건 100% 내 의견만 옳고 다른 의견을 일말의 가치가 없는것이 아니죠???
다른 의견도 이런 저런 긍정적인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나는 후자에 동의한다.........'
이것이 정말 현실적이고, to what extent에 부합하는 에세이에요.
to what extent라는 표현이 아이엘츠 라이팅 토픽에 거의 100% 언급이 되긴하는데,
안되었다 하더라고,
모든 에세이는 - 의견이 나뉘는 에세이는 당연히 내 의견의 '정도'를 표현 하는 것이 자연스럽답니다.
8) 그렇기에, 본론 2개를 구성할때 한 면에 대해서 인정하는 부분을 언급하는 본론1개
그렇게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내가 후자를 지지하는 의견이 담긴 본론 1개로 구성하면 훨씬 설득력 있는 글이 된답니다.
(오해방지: 그렇다고 해서 이런식으로 안써서 점수가 안나오느냐?? 그게 아니에요. 아이엘츠 라이팅은, 문제에서 제시하는 바에 대해서 정확히 다뤄주면 되는 것이에요, 공식이 답인 수학이 아닌, 의사소통의 방법 -글이랍니다)
9) 이렇게 본론 2개를 써주는 것의 이점은,
사실 이렇게 쓰면 글 쓰기가 쉬워요. ㅋ
세상에 나이든 사람이 점점 많아지는데 이것에 대한 단점만 본론 2개로 채우긴 더 어렵죠.
써야할 폭이 좁아지니까요.
자 어쨌거나, 본론을 그렇게 쓴다!! 라고 하면,
그래서 본론 어떻게 쓰는데? 한번 살펴볼게요.
10) 본론의 첫 문장도 기능이 있어요. 꼭 살려주세요.
내가 그렇게 생각하는 그 커다란 주제를 밝혀줘요 (주제/토픽 문장)
토픽문장은 내가 쓰는 본론의 소제목 같은 느낌이랄까요?
우리 아이엘츠 리딩할때 해당 단락의 첫 문장은 그 단락에서 뭘 말한 것인지를 밝혀주는 것이잖아요?
여러분이 쓰는 아이엘츠 라이팅 에세이도 마찬가지로, 내가 이 본론 (단락)에서 뭘 쓸 것인지! 주제, 토픽을 나타내는 문장을 써야해요. 세세한 근거를 먼저 언급하는 것이 아니랍니다. 아이엘츠 라이팅은 구조가 아주 중요해요. 중구난방으로 쓰는것이 아니라, 잘 구성해서 써야만 설득력있고 읽기 쉬운 글이 나와요.
11) 나머지 문장들은 그 첫번째 문장을 받쳐줄 수 있는 예시 및 근거이겠죠. (써포팅 문장들)
아이엘츠 라이팅의 길이를 고려 했을 때 하나의 본론에서 대략 2개에서 3개의 근거를 들어준답니다.
중요한 것은 여기에 for example 예를 꼭 넣어주세요~~
물론, 거의 모든 아이엘츠 라이팅 토픽 Task 2 는 인스트럭션에서 예를 넣으라! 라고 언급을 합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것을 반드시!!라고 생각 하지 않고 예를 안넣는 경우도 있어요.
(또는 그냥 무심코 넘어가는 것이겠죠)
이럴때 많이 받는 질문 - 그럼 예 안넣으면 점수 깎여요? 이런 질문을 종종 받긴해요.
글쎄요. 예를 안넣어서 점수가 안나왔다 라기 보단,
요렇게 접근해 볼까요?
문제에서 예를 넣어라! 라고 했을 때 , 굳이 안넣으면 더 점수를 잘 받을 까요?^^
문제에서 지시한 사항을 100% 따랐을때 손해볼 일은 없어요~~^^
12) 문제에서 그런말 (예를 들어라) 이 없었을때에도, 예를 꼭 들어주세요.
왜냐면?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는 것이 가장 Effective 한 '근거'랍니다.
읽는 사람이 끄덕끄덕 할 수 있는 공감! 및 이해도를 높여주는 것이지요.
더욱 설득력 있는 글이 되려면 예는 필수에요.
13) 예를 들어주는 것이 읽는 사람 (무려 시험관) 에게도 좋지만, 쓰는 나도 수월해요.
내 생각을 예가 없는 글로만 설명하는 것 보다는 예 하나 들어주는것이 더 쉬워요^^
(글자수도 더 잘 채워짐)
14) 예를 들고 근거를 내세웠더니 본론이 꽤 길어졌으면 여기서 멈추고 다음 본론으로 들어가도 OK
15) 본론을 조금 더 써줘야 글자수를 채울 수 있을거 같다 싶으면, 본론을 요약해주는 마지막 문장 한개를 넣어주면 OK
어떠셨나요? 아이엘츠 라이팅의 구조를 명확하게 알면, 글쓰기는 더욱 쉬워질거에요.
하지만 오해는 금물~~~
이것은 어떻게 쓰느냐!! 글쓰기의 방법일 뿐 - 여러분의 영어구사력이 아니랍니다.
이러한 지식/방법을 바탕으로 내 글쓰기 의 실력을 높이는 것은???
-->당연히 여러분의 매일 하고 있는 집중훈련 50분, 100분의 영어훈련이지요.
이러한 요령과 방법은 아하 그렇구나! 이해하고 바로 적용할 수 있지만,
여러분의 아이엘츠 라이팅을 채워가는 문장 하나 하나,
여러분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하는 단어 하나하나는
매일의 아이엘츠 훈련을 통해서 업그레이드 되어가는 것이라는거!!
다 알고 계시죠?^^ 그렇다면 오늘하루도 아이엘츠 집중훈련 화이팅이에요^^
'아이엘츠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엘츠 스피킹 Tip - Part3 는 라이팅과 비슷하게 (0) | 2019.09.16 |
---|---|
아이엘츠 독학 TIP - 최적화 된 계획 (0) | 2019.09.11 |
아이엘츠 스피킹 직장인을 위한 최적화된 전략! (0) | 2019.08.12 |
아이엘츠 라이팅 Task2 에세이 분석! (0) | 2019.07.26 |
아이엘츠 6.0 을 위한 효과적인 공부법! (0) | 2019.07.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이엘츠공부법
- 아이엘츠 화상영어
- 어린이영어
- 슈퍼잉글리쉬
- IELTS
- 어린이화상영어
- 비즈비즈
- 화상영어
- 아이엘츠화상영어
- 초등화상영어
- 아이엘츠 후기
- ielts학원
- IELTS시험
- 아이엘츠스피킹
- 아이엘츠 라이팅
- 직장인화상영어
- Bizbees
- 초등영어
- 영어회화
- 아이엘츠 학원
- 아이엘츠 스피킹
- 아이엘츠 공부
- 아이엘츠라이팅
- 아이엘츠학원
- 성인영어
- 아이엘츠시험
- 아이엘츠스피킹 ieltsspeaking 아이엘츠 아이엘츠라이팅 아이엘츠시험 아이엘츠공부법 ieltswriting 어학·외국어 ieltsspeakingpart2 아이엘츠스피킹part2 아이엘츠후기 슈퍼잉글리쉬아이엘츠 아이엘츠공
- 아이엘츠
- 직장인영어
- 아이엘츠 시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